결혼은 인생의 중요한 시작점이지만, 동시에 큰 비용이 들어가는 이벤트이기도 합니다.
식장 대관료, 스드메(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 식사, 예단, 폐백 등까지 더하면 결혼식 한 번에 평균 2,000만 원 이상이 들기도 하죠.
하지만 조금만 시야를 넓히면 공공시설을 이용한 합리적인 결혼식도 가능하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번 글에서는 결혼식 비용을 절약하는 방법과 함께
공공 결혼식장 지원사업을 공유누리 사이트를 통해 신청하는 법까지 정리해드립니다.

1. 평일 저녁 결혼식 선택
- 주말 낮 예식보다 대관료와 식대가 20~30% 저렴
- 직장인 하객들도 부담 없이 참석 가능
2. 스드메 패키지 대신 개별 진행
- 스튜디오, 드레스샵, 메이크업숍 각각 비교 견적
- 프리랜서 아티스트나 로컬샵 활용 시 비용 절감
3.셀프 청첩장 & 영상 제작
- 모바일 청첩장 무료 또는 1만원 내외
- 식전영상, 부모님 감사영상도 셀프 편집 가능
4. 작은 결혼식 또는 야외 결혼식 진행
- 하객 50명 내외로 규모 줄이면 음식, 부대비용 대폭 절감
- 공공시설 활용 시 장소 임대비도 줄일 수 있음
공유누리(https://www.eshare.go.kr)는 정부나 지자체가 보유한 공공자원을 국민에게 개방한 ‘공공개방자원 통합포털’입니다.
여기서 결혼식이 가능한 공공시설(예식장, 강당, 갤러리홀 등)을 무료 또는 저렴하게 예약할 수 있어요.
공유누리 홈페이지 접속 → https://www.eshare.go.kr 상단 검색창에 ‘결혼식장’, ‘작은 결혼식’, ‘공공시설 대관’ 입력 지역 선택 후 검색하면 대관 가능 공공시설 리스트 확인 가능 장소별 예약 조건, 비용, 위치, 사진 등을 비교
회원가입 후 온라인으로 대관 신청 가능
실제 대관 가능한 결혼식장 예시
서울 시민청 예식홀 (서울시)
북서울 꿈의숲 갤러리웨딩
고양시 공공문화센터 강당
부산 다복동 작은결혼식장
전주시 덕진공원 야외무대
도서관, 수목원, 문화원 등 소규모 예식장 다수
이런 장소는 대부분 대관료가 무료 또는 1~10만 원 내외이며, 하객도 30~70명 내외로 제한되어 조용하고 따뜻한 분위기의 결혼식을 할 수 있어요.
우리마을 예식장소 대관찾기로 더 많은 장소 알아보세요!
공공시설 대관 외에도 지역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혼 관련 지원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
- 신혼부부 주거비 지원
- 결혼 장려금(농어촌, 청년 대상)
- 결혼식 대관료 및 웨딩사진 일부 지원
- 다문화가정·저소득층 결혼식 지원 사업
해당 정보는 거주지 시청 홈페이지, 주민센터, 복지로(https://www.bokjiro.go.kr) 등에서 확인 가능해요.
결혼은 ‘작지만 알차게’ 준비할 수 있어요
더 이상 무리해서 화려한 결혼식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실속형·맞춤형 웨딩 문화가 빠르게 자리 잡고 있어요.
공유누리처럼 정부와 지자체가 지원하는 시스템을 잘 활용하면 비용은 줄이고, 의미는 더할 수 있는 결혼식이 충분히 가능합니다.
둘만의 진심이 담긴, 작지만 특별한 결혼식을 원하신다면 공유누리에서 바로 검색해보세요. 여러분의 소중한 하루를 위해 준비된 공간이 기다리고 있을지 모릅니다.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딩게이트 영어 독서왕 선발대회 | 참여 방법부터 상품까지 완벽 정리! (1) | 2025.03.28 |
---|---|
2025년 벚꽃 개화시기 다운로드 가능 (0) | 2025.03.25 |
스타벅스쿠폰 무료 2잔 받기 삼성화재 다이렉트 친구에게 소개만해도 쿠폰증정 (0) | 2025.03.25 |
통돌이세탁기 DE 에러 해결법부터 예방법, 수리비용 총정리 (0) | 2025.03.25 |
국민연금 개혁안 내용 - 보험료율.소득대체율 인상. 지급 보장까지 (0) | 2025.03.21 |